기사 메일전송
타지 거주 교수 비율 높아, 익산 주소지 이전 대책 시급
  • 고 훈 기자
  • 등록 2016-09-28 15:15:00

기사수정

전임교수들 전북지역 외에 거주, 방학 및 강의없는 날 연구실 ‘텅텅’
익산참여연대 “거주지 이전 요구는 지역 환원에 대한 정당한 요구”




지역대학 전임교수들의 주소지가 상당수 타지로 밝혀지면서 지역대학의 지역사회에 대한 기여도를 높이기 위해 거주지 이전 요구 등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시민단체에서 제기됐다.


특히 익산의 원광대·원광보건대 등 지역대학 전임교수들의 26%, 33%가 각각 타지에 주소지를 두고 있음이 밝혀져 주소 이전에 대한 요구와 함께 지역사회 환원에 대한 역할이 교수 임용 기준에 반영되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28일 익산참여연대(대표 장시근)는 전북지역 6개 국·사립대학(이하 전북 주요대학)에 근무하는 교원과 교직원 주소지를 정보공개 청구를 통해 분석해 발표했다.






▲전임교수 원광대 233명, 원광보건대 35명 타 시·도 거주

익산참여연대의 분석에 따르면, 도내 주요대학 전임교수의 경우 총원 2,854명 중에서 2,239명(78.5%)가 전북에 주소지를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별로는 전북대 90%, 군산대 78.5%, 원광보건대 74%, 전주대 73%, 우석대 70%, 원광대 67% 순이었다.


전북 주소지 비율이 가장 낮은 원광대학교는 대전, 군포, 광주 등의 치과, 의과, 한의과 병원이 있다는 점과 우석대도 진천 제2캠퍼스를 고려할 할 부분이 있다.



▲전북 외 주소지 대부분은 수도권
전임교수 전북 외 주소지 615명 중에서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이 394명(64%)을 차지하고 있다. 세부적으로 서울이 265명(43%), 경기가 119명(19.3%), 대전이 115명(18.7%)로 나타났다.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 비율을 대학별로 보면 원광대 19.6%, 전주대 19.6%, 우석대 19.6% 원광보건대 14.1%, 군산대 13.1% 순이었다.


서울의 주소지 비율은 전주대 13.8%, 원광대 12.8%, 우석대 12.3% 원광보건대 8.9%, 군산대 8.4%, 전북대 4.7%순으로 나타났다. 원광대의 경우 안양, 대전, 광주에 병원을 운영하고 있어 전북 외 주소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원광대의 경우 전임교수 718명 가운데 485명이 전북에 주소지를 두고 있었다. 뒤이어 서울(92명), 경기(46명), 대전(57명), 광주(19명), 충남(5명), 충북(4명), 인천(3명), 전남(2명), 기타(5명) 등으로 나타났다.


원광보건대의 경우 전임교수 135명 가운데 100명이 전북에 주소지를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뒤이어 서울(12명), 경기(7명), 대전(5명), 광주(6명), 충남(4명) 순이었다.





▲교직원들 93.7% 전북에 주소지 둬

이에 반면 전북 주요대학 교직원들의 거주현황은 총원 1,182명 중에서 1,108명(93.7%)이 전북에 주소지를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별로 보면 전주대 96.9%, 전북대 95.4%, 우석대 94.6%, 원광대 92.6%, 원광보건대 87% 순이었다. 전북 외 거주현황은 서울 14명(1.2%), 대전 13명(1.1%), 경기 11명(0.9%) 순으로 나타났다.


전임교수와 교직원을 비교하면, 전임교원이 78.5%, 정규직 교직원이 93.7%로 15%의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런 결과를 놓고 볼 때 타 직종보다 전임교원의 전북 외 거주 비율이 매우 높고, 그동안 지역사회에서 제기했던 전임교수들의 지역사회의 역할을 가로막는 전북 외 거주문제가 심각하다는 지적이다.


더욱이 대학의 주소지 관리가 실거주지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할 수 없는 구조이기에 실질적인 현황은 더욱 심각할 것으로 보고 있다.



▲전임교수 전북 거주비율 높이기 위한 노력·관리 필요
이번 익산참여연대의 정보공개청구는 도내 주요대학 전임교수들이 사회적 지위와 경제적 해택에 맞는 지역적 역할을 수행하는 당연한 책무가 있음에도 지역이 아닌 수도권 등에 거주함으로 지역사회 환원 역할에 소홀하다는 문제가 제기된 것이 그 배경이다.


전임교수들의 일상적인 출·퇴근이 가능한 전북 외 거주는 이점에서 중요한 기준이 된다.


도내 밖에서 거주할 경우, 지역 연계 연구를 수행활동에 대한 시간적 제약이 있기 때문이다.


특히 방학과 강의가 없는 날은 타지에 거주하는 전임교수들이 지역을 떠나 거주지에서 연구와 여가활동이 이루어져 대학의 연구실은 비어있다는 지적도 피할 수 없다.


아울러 KTX 고속열차가 개통되면서 전임교수 등의 수도권 거주가 현재보다 더욱 늘어날 수 있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을 서둘러야 한다는 의견이다.


익산참여연대 황인철 사무국장은 전임교수들의 전북 거주비율을 높이기 위한 진지한 고민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황인철 사무국장은 “전임교원들의 전북 외 거주문제는 그동안 지속적으로 문제제기 되었지만, 대학도 그 심각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손을 놓고 있는 상황이다”며 “이에 지역역량 손실과 대학의 지역기여라는 점에서 전임교수들의 전북 거주비율을 높이기 위한 진지한 고민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아울러 “대학은 지역거주 및 지역적 역할에 대한 부분을 교수임용에 반영하고 체계적인 관리에 나서야 한다”며 “전북 외 거주 전임교수들은 거주지 이전의 요구는 거주권 침해가 아니라, 지역사회 환원에 대한 정당한 요구라는 점을 직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